창업하기전 꼭 고려해야할 것들(=쉬운게 없다)
원래 오늘은 테크글을 쓰려고 했지만, 2월 회고겸 복잡하고 속상한 마음을 정리할 겸, 일상글(MoA프로젝트 상황)을 쓴다. MoA 작년 가을쯤 시작했었던 프로젝트, 모아가 드디어 개발이 끝이 났다. 하지만 출시는 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너무 너무 마음이 아프고 속상하다. 가을부터 설문 조사, 기획, UI/UX를 끝내고 제대로 된 개발은 1월부터 진행했다. 사실 이 프로젝트는 내가 멱살을 끌고 가는 중이었다. 분명 같이 함께 해나가고 싶어서 시작했는데, 어쩌다보니 혼자 기획하고, 요구사항을 짜고, API 상세 명세까지도 도맡게 되었고, 다들 회사일과 병행하기 어렵다는 말로 나가게 되었다. 그러다 1월에 백엔드를 담당하게 된 귀인들을 만나서 여기까지 개발을 끝낼 수 있게 되었고, 이제 출시만을 앞두고 있었..
프론트엔드 테스트는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어떻게, 꼭 해야할까? (+Jest, Puppeteer, Cypress)
들어가며 이 글에선 프론트엔드의 테스트 코드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테스트 코드 작성법, 좋은 테스트란 어떤 것인지, 나아가 리액트에서는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설명할 것입니다. 저와 같은 문제를 겪은 분들께 도움이 되는 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간결한 문장을 위해 평어체로 진행하겠습니다. 내가 겪은 문제 나는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려고 할 때면, 어디까지 Mocking을 해야하는지, 파라미터 테스트 범위는 어느 정도가 적합한지, 테스트 단위를 얼마나 나눠야하는지 막막했다. 그리고 이렇게 짜는게 맞는건지, 생각할 수 있는 케이스는 다 해본 것 같은데도 불구하고 테스트 커버리지가 높지 않아 고민하기도 했다. 그러다 최근 우테코에 지원해 4주간의 프리코스를 진행 중인데, 여기서 또 테스트와 만나게 되..